Genre
Journal articleDate
2016Author
Duckworth, Douglas S.Department
ReligionPermanent link to this record
http://hdl.handle.net/20.500.12613/6602
Metadata
Show full item recordDOI
http://dx.doi.org/10.34944/dspace/6584Abstract
본고는 티벳 중관 사상의 지배적인 해석적 줄기를 철학적으로 재구축한다. 논자는 마크 시더리츠(Mark Siderits)가 용수의 중관에 대한 관점으로 특징 지 은 것, 특히 시더리츠가 용수에 대해 주장한 것처럼 궁극적인 진리는 논리를 여읜 것이라는 관점과 중관에 대한 티벳 중관학의 해석의 특징들을 구별한다. 그러한 과정에서 논자는 중관학파가 유가행파와 양립한다는 해석에 대하여 미 팜(1846-1912)이 제시한 해석에 주목하여 입증한다. 미팜의 이론은 진제와 속 제의 언설불가능한 통합에 대해 설명함으로써 중관학파와 유가행파의 교각역 할을 한다. 논자는 모든 진리를 틀에 의지하는 것(framework-dependent)으로서 이해 하는 해석 체계로서의 중관학파에 주목함으로써 불가해한 진리가 유가행파 및 중관학파와 양립가능하다는 것을 주장한다. 즉, 모든 진리가 중관학파의 특수 한 틀과 관계되며, 틀에 의지하는 진리는 항상 관습적인 것 또는 상대적인 진 리들일 뿐이며 틀에 의지하지 않는 진리는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그러나 그러 한 틀의 구조 자체는 생각과 표현의 범위를 넘어서는, 즉 “틀에 규정될 수 없는 것(unframeable)” 것인데, 왜냐하면 개별적 진리는 필수적으로 어떤 특수한 틀 안에 가둬지기 때문이다. 틀의 경계를 초월하고 완전히 틀 안에 가둬질 수 없는 것이 바로 궁극적 진리이다. 한편 공(空)은 중관학파에서 궁극적 진리에 관한 핵심적 은유이며, 언설 불 가능한 (틀을 벗어난) 궁극성은 유가행파에서 “의타기”(paratantra)와 “알라 야식”(ālayavijñāna)과 같이 다른 방식들로 나타난다. 불가해한 궁극성은 물 론 유가행파에서도 유지되지만 중관학파의 해석과 갈등을 일으킬 필요는 없었 다. 이는 일체가 공이기 때문이며, 또한 연기에 의한 것이기 때문(이고, 공이 공한 것과 마찬가지로 연기 역시 의존적이기 때문)이다.Citation
Duckworth, Douglas. “Madhyamaka in Tibet: Thinking Through the Ultimate Truth.” Critical Review for Buddhist Studies 20 (2016): 171-197.Available at: https://gcbs.ggu.ac.kr/sub04_1/articles/view/tableid/sub04_1/id/823